타인의 행동을 평가하는 평가자의 성격 때문에 여러 가지 오류가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평가대상자의 전체적인 능력보다 학벌이나 출신지역 등 단편적인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가자 자신의 이해관계나 정실에 따라 평가가 의도적으로 왜곡되기도 한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모두 다르다. 직장 생활을 할 때 상사가 부하를 평하가는 경우 개인적인 인간관계 때문에 능력이 뛰어나거나 회사에 필요한 사람을 의도적으로 낮게 평가하거나 자신과 개인적으로 친밀한 사람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조직 구성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평가는 드물고 주로 과거에 초점을 두어 평가한다. 구성원의 업무수행능력을 개발하고 향상해서 기업의 성과 달성에 기여해야한다는 미래지향적 평가가 아니라 과거의 실적..